KCC (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CC는 1958년 금강스레트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건자재, 도료, 실리콘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며, 국내 최대 도료 생산업체이다. 2000년 금강과 고려화학을 통합하여 금강고려화학으로, 2005년 현재의 KCC로 상호를 변경했다. 해외 지사와 공장을 운영하며, LX하우시스와 경쟁 관계에 있다. 2009년 정관 개정 관련 논란이 있었으며, 2022년 실리콘 사업 확대를 통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건축자재 기업 - LX하우시스
LX하우시스는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로 설립되어 LG화학을 거쳐 202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건축자재 및 인테리어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 대한민국의 건축자재 기업 - 현대L&C
현대L&C는 1965년 한국화성공업으로 설립되어 PVC 생산을 시작, 한화그룹을 거쳐 2018년 현대백화점그룹에 편입된 건축자재 전문 기업으로, 건자재와 자동차 부품 등을 생산하며 엔지니어드 스톤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 KCC그룹 - 부산 KCC 이지스
부산 KCC 이지스는 1978년 창단된 프로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6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3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부산 사직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KCC그룹 - 정상영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의 동생이자 KCC그룹 창업주인 정상영은 동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한 기업인으로, 슬하에 KCC그룹 회장인 장남 정몽진을 포함한 세 아들을 두었다.
KCC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이름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로마자 표기 | KCC Corporation |
설립일 | 1958년 8월 12일 (금강스레트공업) |
창립자 | 정상영 |
상장일 | 1973년 6월 25일 |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344 (서초동) |
주요 인물 | 정몽진 (대표이사 회장) |
산업 |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
서비스 | 일반용 도료 및 관련제품 제조업 판유리 제조업 단열재 제조업 기타 기초무기화학물질 제조업 석면, 암면 및 유사제품 제조업 기타 산업용 유리제품 제조업 기타 내화요업제품 제조업 플라스틱 창호 제조업 |
대표 제품 | 유리, 도료, 창호, 단열재부자재, 암면, 석고보드, 페인트, 건축자재, 내장재 |
슬로건 | 초정밀화학기업 |
자본금 | 56,434,870,000원 (2018.12) |
매출액 | 6,774,800,000,000 (2022) |
영업이익 | 467,600,000,000 (2022) |
순이익 | 285,000,000원 (2022) |
자산총액 | 8,965,418,419,357원 (2018.12) |
주주 | 정몽진 외 특수관계인: 39.15% |
종업원 수 | 5,230명 (2018.12) |
공식 웹사이트 | KCC 공식 웹사이트 |
기업 정보 (영문 위키) | |
회사 형태 | 공개 회사 |
산업 | 자동차 산업 화학 |
제품 | 자동차 부품 화학 제품 |
자회사 | 삼성물산 (9.1% 지분) |
홈페이지 | KCC 영문 웹사이트 |
2. 역사
1958년 금강스레트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60년 금강스레트공업 정상영 대표이사가 취임했다. 1964년 자산 및 매출 1억원을 돌파했다. 1973년 금강스레트공업에서 주식회사 금강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4년 고려화학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울산공장을 준공하였으며, 고려페인트(현 KCC페인트)를 출시하였다. 1980년에는 고려화학 중앙연구소를 설립하고 사가를 제정하였다. 1983년 고려화학 울산공장을 이전 준공하였고, 1984년에는 한국전력공사 울진원자력발전소 9, 10호기에 원자력발전소용 내방사선도료를 공급하였다. 1988년 고려페인트는 국내 도료업계 최초로 공장품질관리 1등급을 획득했다. 1990년 방충 및 방균도료 바이오퍼펙트를 출시하고, 고려페인트 - 도미노 광고로 올해의 방송광고대상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1991년에는 런던 국제광고제 영상부문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되었고 (고려페인트 - 도미노편), 1992년 고려페인트 단일품목 수출 1억달러를 달성했다. 1995년 기업 아이텐티티(CI)를 정립하였다. 2000년 금강과 고려화학을 통합하여 금강고려화학으로 상호명을 변경했다. 2005년 현재의 상호인 KCC로 변경하였다. 2018년 KCC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였고, KCC와 핑크퐁 협업으로 KCC바닥재 숲시리즈를 출시했다.
2. 1. 설립 초기 (1958년 ~ 1973년)
1958년 금강스레트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60년 금강스레트공업 정상영 대표이사가 취임했다. 1964년 자산 및 매출 1억원을 돌파했다.2. 2. 금강 및 고려화학 시기 (1973년 ~ 2000년)
1973년 금강스레트공업에서 주식회사 금강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4년 고려화학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울산공장을 준공하였으며, 고려페인트(현 KCC페인트)를 출시하였다. 1980년에는 고려화학 중앙연구소를 설립하고 사가를 제정하였다. 1983년 고려화학 울산공장을 이전 준공하였고, 1984년에는 한국전력공사 울진원자력발전소 9, 10호기에 원자력발전소용 내방사선도료를 공급하였다. 1988년 고려페인트는 국내 도료업계 최초로 공장품질관리 1등급을 획득했다. 1990년 방충 및 방균도료 바이오퍼펙트를 출시하고, 고려페인트 - 도미노 광고로 올해의 방송광고대상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1991년에는 런던 국제광고제 영상부문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되었고 (고려페인트 - 도미노편), 1992년 고려페인트 단일품목 수출 1억달러를 달성했다. 1995년 기업 아이텐티티(CI)를 정립하였다.2. 3. KCC 통합 이후 (2000년 ~ 현재)
2000년 금강과 고려화학을 통합하여 금강고려화학으로 상호명을 변경했다. 2005년 현재의 상호인 KCC로 변경하였다. 2011년 4월, 바실던 케미칼(Basildon Chemicals)을 인수하여 실리콘 유화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2] 2018년 KCC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였고, KCC와 핑크퐁 협업으로 KCC바닥재 숲시리즈를 출시했다.3. 사업 분야
KCC의 사업은 크게 건자재, 도료, 실리콘, 기타 부문으로 나뉜다.
건자재KCC는 석고보드 등 건자재를 생산한다. 내장재인 석고보드는 건축물에 필수 자재이며 암면흡음천장판이 들어간 천장재도 생산한다.
품목 | 설명 |
---|---|
석고보드 | 건축물 내장재 |
암면흡음천장판 | 천장재 |
도료KCC는 국내 최대의 도료 생산업체로서 자동차용, 선박용, 건축용, 중방식용 등 다양한 분야의 도료를 생산하며 품질은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실리콘KCC는 모멘티브를 인수하여 실리콘 사업을 통해 2022년 역대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 구성은 실리콘 53.1%, 도료 24.8%, 건자재 16%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타KCC는 다양한 종류의 페인트, 부유판유리(float glass), 부드러운 스폰지, 실리콘, 차대 및 자동차 부품을 생산한다. KCC는 한국에서 가장 큰 건축 자재 및 페인트 공급업체이다.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 알루미나 금속화, 실리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산업용 자재가 국내 13개 지역에서 생산된다.
KCC는 전 세계에 9개의 해외 지사 및 7개의 해외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 KCC 휴스턴 (미국 텍사스) - 지사
- KCC 도쿄 (일본 도쿄) - 지사
- KCC 홍콩 (중국 홍콩) - 지사
- KCC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지사
- KCC 그리스 (그리스 피레우스) - 지사
- KCC 함부르크 (독일 함부르크) - 지사
- KCC 이란 (이란 테헤란) - 지사
- KCC 상하이 (중국 상하이) - 지사
- KCC 쿤산 (중국 상하이) - 페인트 공장
- KCC 베이징 (중국 베이징) - 페인트 공장
- KCC 광저우 (중국 광저우) - 페인트 공장
- KCC 싱가포르 (싱가포르) - 페인트 공장
- KCC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페인트 공장
- KCC 인도 (인도 첸나이) - 페인트 공장
- KCC 터키 (튀르키예 이스탄불) - 페인트 공장
- KCC 폴란드 (폴란드 루블린) - 지사
- KCC 베트남 (베트남 호찌민) - 지사
3. 1. 건자재
KCC는 석고보드 등 건자재와 도료, 기타 부문으로 사업을 나눈다. 내장재인 석고보드는 건축물에 필수 자재이며 암면흡음천장판이 들어간 천장재도 생산한다.품목 | 설명 |
---|---|
석고보드 | 건축물 내장재 |
암면흡음천장판 | 천장재 |
3. 2. 도료
KCC는 국내 최대의 도료 생산업체로서 자동차용, 선박용, 건축용, 중방식용 등 다양한 분야의 도료를 생산하며 품질은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3. 3. 실리콘
KCC는 모멘티브를 인수하여 실리콘 사업을 통해 2022년 역대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다.[2] 매출 구성은 실리콘 53.1%, 도료 24.8%, 건자재 16% 등으로 이루어진다. 2011년 4월에는 바실던 케미칼(Basildon Chemicals)을 인수하여 실리콘 유화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2]3. 4. 기타
KCC는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 알루미나 금속화 등 산업용 자재를 생산한다. 또한 석고보드 등 건자재와 도료 사업을 한다. 석고보드는 건축물에 들어가는 필수 자재이며 암면흡음천장판이 들어간 천장재도 생산한다. 국내 최대의 도료 생산업체로서 자동차용, 선박용, 건축용, 중방식용 등 다양한 분야의 도료를 생산하며 품질은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모멘티브를 인수하며 실리콘을 통해 역대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다.(2022) 매출구성은 실리콘 53.1%, 도료 24.8%, 건자재 16% 등으로 이루어진다.4. 해외 사업
KCC는 전 세계에 9개의 해외 지사 및 7개의 해외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지사)
- 일본 도쿄 (지사)
- 중국 홍콩 (지사)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지사)
- 그리스 피레우스 (지사)
- 독일 함부르크 (지사)
- 이란 테헤란 (지사)
- 중국 상하이 (지사)
- 중국 쿤산 (페인트 공장)
- 중국 베이징 (페인트 공장)
- 중국 광저우 (페인트 공장)
- 싱가포르 (페인트 공장)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페인트 공장)
- 인도 첸나이 (페인트 공장)
- 터키 이스탄불 (페인트 공장)
- 폴란드 루블린 (지사)
- 베트남 호찌민 (지사)
4. 1. 해외 지사
KCC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일본 도쿄, 중국 홍콩 및 상하이와 쿤산, 베이징, 광저우,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그리스 피레우스, 독일 함부르크, 이란 테헤란, 베트남 호찌민, 폴란드 루블린 등에 해외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인도 첸나이, 터키 이스탄불 등에는 해외 페인트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4. 2. 해외 공장
KCC는 중국 (쿤산, 베이징, 광저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인도 (첸나이), 터키 (이스탄불) 등지에 해외 페인트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5. 규모 및 수익
6. 경쟁 업체
LX하우시스와 건축 및 인테리어 자재를 생산하는 사업 모델이 동일하여 라이벌 관계에 있다.[3] KCC는 LX하우시스를 교묘히 깎아내리는 텔레비전 광고를 내놓으며 서로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3]
7. 논란
KCC는 2009년 정기주주총회에서 신주인수권의 제3자 배정사유를 추가하고, 사채의 제3자 배정 한도를 높였다.[4] 이는 경영권 방어 목적으로 악용되거나 기존 주주의 지분희석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정관 개정안으로 국민연금과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Center for Good Corporate Governance; CGCG)는 반대 의견을 표명하였다.[4] 그러나, 이사선임의 경우 국민연금은 과거 회사 대표이사를 역임한 사외이사 후보 1인에 대해서만 반대한 반면, CGCG는 과거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에 따라 현대엘리베이터 공개매수 결정에 동의했거나 지배주주와 학연관계가 있는 사외이사를 모두 반대하였다.[4]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경영권 방어 시도가 기업의 투명성과 건전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비판하며, 소액 주주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7. 1. 정관 개정 논란
KCC는 2009년 정기주주총회에서 신주인수권의 제3자 배정사유를 추가하고, 사채의 제3자 배정 한도를 높였다.[4] 이는 경영권 방어 목적으로 악용되거나 기존 주주의 지분희석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정관 개정안으로 국민연금과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Center for Good Corporate Governance; CGCG)는 반대 의견을 표명하였다.[4] 그러나, 이사선임의 경우 국민연금은 과거 회사 대표이사를 역임한 사외이사 후보 1인에 대해서만 반대한 반면, CGCG는 과거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에 따라 현대엘리베이터 공개매수 결정에 동의했거나 지배주주와 학연관계가 있는 사외이사를 모두 반대하였다.[4]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경영권 방어 시도가 기업의 투명성과 건전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비판하며, 소액 주주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CC Corp (002380:Korea SE)
http://investing.bus[...]
Bloomberg Businessweek
2012-09-26
[2]
웹사이트
Basildon Chemical Corp
http://www.baschem.c[...]
[3]
뉴스
KCC '지인'은 모른다?..LG하우시스도 맞불
머니투데이
2014-09-15
[4]
저널
국민연금의 의결권행사 실태와 그 개선방향
http://www.cgs.or.kr[...]
2010-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